본문 바로가기
정신건강의 모든 것

거식증, 신경성 식욕부진증, 섭식장애의 진단, 특징, 원인, 치료방법

by 정보알리미v 2020. 6. 17.

거식증, 신경성 식욕부진증, 섭식장애의 진단, 특징, 원인, 치료방법

 

안녕하세요? 정신건강 스토리입니다. 오늘은 거식증, 신경성 식욕부진증, 섭식장애의 진단, 특징, 원인, 치료방법 등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이야기 나누려고 합니다. 워낙 정신건강 문제로 이슈가 되고, 대두되었던 문제이기에 다들 조금씩은 들어보시고 알고 계실 것 같은데요, 최신 정신의학이라는 전문서적을 참고한 내용으로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자, 그럼 시작합니다.

 

거식증, 신경성 식욕부진증, 섭식장애

 

◆ 개념과 분류


섭식장애, 식사장애란 식사 행위 eating behavior에 현저한 문제가 있는 신경정신과적 질환입니다.

 

 

◆ 식욕의 심리학과 생물학


 

(1) 정신사회적 요인

 

식사는 인간의 본능적 행동의 하나로 식사를 함으로써 생명이 유지됩니다. 따라서 식사 행위 또는 음식은 인간의 생명을 보장해주고 다른 행동과 마찬가지로 사랑과 의존을 포함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게 하는 요소가 됩니다.

 

음식은 어머니의 젖과 같은 것으로 사랑과 동일시됩니다. 따라서 어머니에 대한 거부나 사랑에 대한 거부는 흔히 음식 거부로 나타납니다.

 

◆ 비만 obesity


신체 내에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신장별 표준체중에서 20%이상 초과한 상태를 비만이라고 정의합니다. 우리나라에는 정확한 통계가 없으나 최근 증가 추세에 있다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신체에서 필요로 하는 열량보다 과식하였을 때 지방이 축적됩니다. 즉 비만은 에너지 섭취량이 소모되는 양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원인 - 비만은 에너지 섭취량이 소모되는 양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생물학적 - 유전, 발달적 요인, 신체적 활동, 다른 임상적 요인들이 있습니다.

 

정신적 - 문화, 가족 그리고 정신역동적인 요인들이 비만 발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임상양상 - 많은 비만인들이 감정적으로 혼란스러울 때, 때로는 그 후에 과식을 하게 된다고 호소합니다.

 

치료 - 주의 깊은 관리를 받으면서 체중감량을 시도하여야 합니다. 식이요법. 운동. 약물치료. 수술. 정신치료가 있습니다.

 

사례 - 개인 내적, 대인 관계적, 그리고 사회문화적 요소들까지 포함하지 않고, 폭식과 하제 사용의 전형적인 일상이 관찰이 되며 환자는 음식을 먹는 양을 통제하지 못하고 폭식 후 구토, 하제 및 관장제 사용하는 등 신경석 폭식증의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환자의 신체적 호소에 관심을 기울이며 치료적 라포를 형성한 후 치료적 개입을 실시해야 합니다.

◆ 신경성 대식증 bulimia nervosa


 

빨리 다량의 음식을 먹는 폭식이 특징입니다.  많이 먹어서 복통과 구역질이 날 때까지 먹고, 토한 후에는 죄책감, 자기혐오, 우울증으로 괴로워함. 신경성 식욕부진증보다 더 빈번하게 발병합니다.

 

생물학적 요인으로는 여러 가지 신경전달물질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먼저 항우울제가 신경성 대식증을 호전시키는 것으로 미루어 serotonin, norepine-phrine이 관련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정신적 요인으로는 신경성 대식증 환자는 외향적이고 화를 잘 내고 충동적인 특성이 있습니다. 알코올 의존, 물건 훔치기 등을 포함한 정서불안이 많습니다.

 

자신의 식사행동을 조절하지 못하는 것 때문에 괴로워하므로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보다 더 빨리, 자발적 치료를 원하는 편입니다.

 

◆ 신경성 식욕부진증45 anorexia nervosa (거식증)


 

신체상(body image)의 심한 장애로 먹지 않아서 체중이 지나치게 감소하는 병입니다.

최근 20년 이래 젊은 여성에서 급증하고 있습니다. 체중 증가에 대한 심한 두려움, 식욕부진과 스스로 식사를 제한함, 특이한 식사 행동, 현저한 체중감소 등이 주증상입니다.

 

생물학적 요인으로는 일란성쌍둥이에서 일치율이 높다는 보고가 있으며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의 자매에서 호발 한다고도 하는데 이는 유전적 요인이라기보다는 사회적인 영향 때문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입니다.

 

정신적 요인으로는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청소년기의 특징인 사회적으로나 성적으로 독립적인 기능을 해야 한다는 요구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납니다. 보통 청소년들이 추구하는 것 대신에 음식과 체중에만 강박적으로 집착하는 것입니다.

 

사회적 요인으로는 날씬함과 운동을 강조하는 사회분위기에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역학 

호발 연령 : 10대 중반, 여자가 남자보다 10~20배 더 많이 발생합니다.

 

 

임상양상

체중 증가에 대한 극심한 공포, 자신의 신체상과 크기에 대한 왜곡된 지각을 합니다.

밤중에 게걸스럽게 많이 먹는 폭식이나 대식증을 동반하기도 하는데 먹고 난 후에 일부러 토해버리기 일쑤입니다.

 

감별진단

숨기거나 부정, 치료 거부하여 감별진단 어렵습니다.

 

경과 및 예후는 다양하나 전반적으로 예후가 좋습니다. 

 

사례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들은 질환에 대한 부정이 심하고 증상을 숨기는 일이 잦습니다. 또한 병식이 낮아 치료를 거부하는 모습이 강합니다. 예를 들면 59kg로서 키와 체격에 비해서 정상적인 체중이었으나, 학교 댄스파티에 참여하기 위해 체중감량을 부탁한 남자 친구의 의견에 동의하며 체중을 급격히 감량하고, 다이어트 한지 5개월쯤 38kg 되었고 그 후 3개월 동안 정상적인 월경을 하지 않았는 양상입니다. 이때 환자는 자신의 체중이 표준체중에 미달됨을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계속 뚱뚱해지는 것에 대해 비현실적인 불안을 표현합니다.

 

치료는  포괄적인 치료를 해야 합니다.


 

1) 입원 치료 - 영양실조를 원상 복구하는 것이 급선무이기 때문입니다.

 

2) 정신치료 - 체중 증가를 모니터하고 식사 행위를 알아보는 인지적․행동적 접근 치료를 시행합니다.

 

3) 생물학적 치료 - 약물치료가 신경성 식욕부진증을 호전시킨다고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이상 거식증, 신경성 식욕부진증, 섭식장애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