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신건강의 모든 것/불안장애

환 공포증 원인, 이미지 테스트, 치료방법

by 정보알리미v 2020. 6. 20.

환 공포증 원인, 이미지 테스트, 치료방법

 

안녕하세요? 정신건강 스토리입니다. 이번 주말에도 한낮기온이 30도를 훌쩍 넘고 자외선 지수도 높다 하니 선크림을 꼭 챙기시고 바깥 활동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환 공포증 원인, 이미지 테스트, 치료방법 등에 관해서 이야기 나누려고 합니다. 생소하신 분들도 계실 것 같은데요, 함께 차근차근 살펴봤으면 좋겠습니다. 

 

이미지 테스도 준비했으니 한번 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자 그럼, 시작합니다!

 

환 공포증은 상위 개념은 특정공포증입니다. 특정공포증에 대해 알아봅시다.

 

특정 공포증에 빠진 사람들은 공포에 의해 손상을 입고 이로 인해 고통을 받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습니다.

심한 공포증에 빠지면 다한증, 심장 박동의 증가, 호흡 곤란, 현기증이나 몽롱함, 떨림, 무기력감에 빠질 수 있습니다.

특정 공포증은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대개 10세에서 13세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장 잘 알려진 특정 공포증으로는 4가지 유형(동물형, 자연환경형, 혈액-주사/상처형, 상황형)이 있으며 여기에 기타 유형(불꽃놀이와 같은 큰 소음, 만화 주인공들과 같은 옷을 입은 사람들을 보고 깜짝 놀란 아이들)이 추가됩니다

 

1) 동물형

동물이나 곤충에 대하여 정도가 넘어서는 공포를 가진 사람

 

2) 자연환경형

자연발생적인 상황이나 사건에 대해 공포를 가진 사람

 

3) 혈액-주사/상처형

신체적 반응에 있어서 공포를 가진 사람

(예) 몸집이 큰데 혈액을 채혈하겠다고 하니 기절을 한 남자

4) 상황형

폐쇄된 공간을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

 

환 공포증의 정의 및 원인

환 공포증은 특정 공포증 중 하나로 최근 연구되기 시작한 공포증입니다.

 

구멍 따위의 작은 것들이 여러 개 모여있거나 뭉쳐있는 것, 즉 환 무늬에 심한 불안, 초조, 공포심, 두근거림, 식은땀 호소 등 불편감을 호소하는 장애를 말합니다.

 

아직 공식 정신질환 통계 편람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지만, 특정 공포증 중 많이 호소하고 있는 환 공포증입니다.

이러한 특정 공포증의 근원적 원인은 죽음과 연관이 있다고 합니다.

 

푸른 띠 문어 환 공포증 테스트 이미지

이 문어의 이름은, 푸른 띠 문어로 성인을 수십 명이나 죽일 수 있는 강력한 맹독을 지녔는데 환 공포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강력하게 작용했으며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매우 차이가 나는 뚜렷한 환 무늬와  촘촘한 연속성을 가진 무늬 들일수록 더 강력한 공포감을 불러왔다고 합니다.

또한 어떤 개인은 다른 다수의 사람들과는 달리 어떤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병적으로 불안해지는 신체적 조건, 즉 소인을 타고난다고 봅니다. 이런 이론은 여러 불안장애들에 대한 가족력 조사, 쌍둥이 연구 등을 통해 일부 확인되고 있습니다.

 

환 공포증 치료

점진적 노출을 통한 공포심을 저하시키는 행동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가벼운 그림, 이미지 등을 노출하다가 더욱 강력하고 혐오스러운 이미지를 노출시키며, 공포심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접근합니다.

환 공포에 대한 자신의 비합리적 신념, 사고 등을 탐색해보고 인지를 수정할 수 있도록 돕는,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우울증이 동반되기도 하여 우울증 약물치료가 병행될 수 있습니다.

 

환 공포증 테스트 이미지

 

환공포증 테스트 이미지

 

 

 

 

 

 

이상 환공포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매개체만 다를 뿐 공포증이라고 이해하시면 좋을 듯하며, 사람은 누구나 공포의 대상 등이 있습니다. 심리 문제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근원적인 이유는 죽음의 두려움, 공포 때문이라고 합니다. 

공포심으로 인한 불안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가 아닌 이상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기 때문에 너무 염려하거나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혹시라도 문제가 느껴지신다면, 가까운 정신건강의학과에 방문하여 외래진료를 통해 전문적인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혹은 지역 내에 정신건강복지센터(예: 강남구정신건강복지센터, 관악구정신건강복지센터 등)에 문의하셔서 정신건강 전문가와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