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신건강의 모든 것

충동조절장애 원인, 증상, 역학, 치료방법 등

by 정보알리미v 2020. 6. 24.

충동조절장애 원인, 증상, 역학, 치료방법 등

 

안녕하세요? 정신건강 및 정신건강사회복지사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는 정신건강 스토리입니다. 오늘은 충동조절장애의 증상, 원인, 치료방법 등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충동조절장애

충동조절장애란?


충동이란 인간이 가지는 일종의 본능적 성향으로 늘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충동이 너무 강하거나 자아의 억제 기능이 약화된 경우에는 많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충동으로 인해 긴장이 고조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행동으로 표출되는 것이 행동 및 충동 장애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충동조절장애의 원인


전문가들은 충동조절장애(행동 및 충동 장애)는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난다고 보고 있습니다.

 

뇌의 변연계, 테스토스테론, 측두엽 간질, 두부외상의 경력이 충동적 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주의력 장애와 정신 지체도 한 원인이 됩니다. 즉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병된다고 보고 있어, 유전적 소인이 없더라도 생길 수 있습니다.

 

충동적 행동의 일례로, 도박은 피학적이고 강박적인 인격 성향, 흥분의 추구, 권위에의 도전, 우울감을 없애려는 노력 등과 관련 있다고 합니다.

 

초기 도박에서 큰돈을 따게 되면 이때의 승리감이 계속 도박에 빠져들게 하는 요인이 되고, 도박과 관련된 각성이 도박을 계속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병적 도박자들은 일정 수준의 각성에 만족하지 못하고 끊임없이 각성의 증가를 추구합니다. 이로 인해 도박을 중단하면 금단증상으로 각성의 저하를 심하게 느낍니다.

 

부적절한 가정교육, 도박 환경에 노출된 청소년기, 물질만능의 가정환경 등에서 자주 발현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충동조절장애의 증상


충동조절장애(행동 및 충동 장애)에는 공통적인 특징

 

1) 자기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가 되는 행동을 반복하여 이런 충동과 욕구를 스스로 억제하거나 조절하지 못합니다.

 

2) 충동적 행동을 하기 전 긴장이나 각성이 고조됩니다.

 

3) 행동으로 옮긴 후에는 일시적인 쾌감이나 다행 감 또는 긴장의 해소를 경험하게 됩니다.

 

4) 다른 신경증과 달리 이들의 충동적 행동은 대부분 자아 동질적이어서 행동 이후에 자책, 후회, 죄책감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충동조절장애의 대표적인 유형


1) 병적도박(pathological gambling)

 

2) 절도광(kleptomania)

 

3) 방화광(pyromania)

병적방화-휘발유통을 옆에 두구 불구경을 하고 있는 남성

 

4) 간헐적 폭발성 장애(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

 

5) 발모광(trichotillomania)

발모벽-자신의 머리를 쥐어짜고 있는 남성

 

충동조절장애의 치료


재발의 위험성이 높은 질환이며, 법적 문제나 지지체계가 온전하지 않으면 치료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급성기 환자의 경우 입원 치료를 해야 하며, 이후에는 외래진료와 심리치료센터를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중 진단의 경우 해당되는 질환에 대해 약물치료를 해야 하며, 특히 도박의 경우에는 금전적 도움을 제공해서는 안됩니다.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관련기관으로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등이 있습니다.


"); wcs_do();